타니사로 스님의 초기경전 해석 공부모임
1. 그룹소개
1.1. 부처님의 Dhamma (經藏; 디가 니까야, 맛지마 니까야, 상윳따 니까야, 앙굿따라 니까야, 쿠다카 니까야의 5종)와 Vinaya (律藏)를 해설한 Ṭhānissaro Bhikkhu (Phra Ajaan Geoff)의 책들만을 공부하는 모임으로, 2020년 7월 29일 시작한 이후 매주 페북 화상채팅을 통해 만나 오고 있습니다. (타니사로 스님 소개 => https://www.facebook.com/keepsurfinglife/posts/1468140423558036%20 )
1.2. 다음의 다섯 가지 전제에서 시작합니다: (i) Pali語로 남겨진 경장과 율장은 윤회라는 병을 치유하기 위해서 부처님이라는 의사가 남기신 처방전입니다; (ii) 경장과 율장이 부처님 말씀의 100% 정확한 기록이라고 확신하기는 어렵다 해도 부처님의 원래 가르침에 가장 근접하는 최선의 자료입니다; (iii) 이런 경장과 율장을 가급적 정확하게 이해, 인용하려는 노력은 철학자로서의 부처님에 대한 예의이자 지적윤리입니다; (iv) 5종 니까야와 율장 이외의 다른 경전, 논서, 종파들은 '티벳불교' 혹은 '화엄경' 등으로 상세 명시하며 이 그룹의 관심대상은 아닙니다; (v) 8정도의 8요소들을 특정 순서로 배열하신 부처님의 의도를 따라 교학을 수행의 출발점으로 삼습니다 (MN 117).
1.3. 지하철 3호선과 4호선이 중간 중간 몇몇 곳에서 만난다고 해서 이 이유만으로 두 노선이 완전히 동일하다거나 종착역이 같다고 단정하는 것은 논리적 비약입니다. 부처님이 맹목적 신앙 (blind faith)을 요구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모든 선입견을 내려놓고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우선은 잠정적 가설 (working hypothesis)로 받아들이고 실천해 본 후 효과가 발견되면 확신 (conviction)을 가지라는 얘기일 뿐, "진리는 상대적이다" 류의 의미가 아닙니다. 초기경전에 권위를 부여 않는 분들, 순수한 호기심이 아닌 이미 정해 놓은 아젠다 (예: 종교 간 통합, 종교와 과학의 통합 등)에 끼워맞추기 위해 초기불교를 왜곡하려는 의도를 갖고 계신 분들은 아예 가입신청 마시기를 바랍니다.
1.4. 연령, 직업, 지위, 그룹 밖에서의 사적 관계나 친분의 정도 등과 무관하게, 이 그룹 안에서는 무조건 서로의 first name에 '~님'을 붙여 호칭합니다.
1.5. 영어로 된 타니사로 스님의 책을 교재로 정하여 매주 모임에서 운영자가 챕터 하나씩 한국어로 요약해 드리는 방식으로 현재까지는 운영해 오고 있습니다. 80여권에 달하는 책들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책으로 만드는 일보다는 말로 전달해 드리는 것이 효율적일 것 같아 선택한 방법입니다. 모임공지 제목 (예: “한국 9/12 일 22:30”)을 클릭하시면 참석예정 여부를 표시하실 수 있으며, 운영자 포함 참석예정자가 1~2명인 경우 그 주 모임은 스킵하오니 모임 12시간 전까지는 참석여부를 미리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급한 일이 생기실 경우 나중에 변경하셔도 물론 무방합니다. 모임시간에 참여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화상채팅방으로 입장됩니다. 부득이한 경우 (편찮으시다거나 운전 중이시라거나 그런 상황)이 아니라면, 비디오를 켜 두시는 것이 원칙입니다.
1.6. 제가 답해 드리지 못 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타니사로 스님께 직접 여쭤 본 후 알려 드리겠습니다. 그러나 질문은 모임에 정기적으로 참석하시는 분들로부터만 받으며, 영어 질문도 현재 진도를 나가고 있는 교재에 대해서만 받습니다. 해석이 잘 안 되는 영어 문장을 그 진도에 해당하는 모임 공지 아래에 댓글로 미리 적어 주시면, 모임 중에 문법과 내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7. 이 7개 항목 모두를 준수하시는 동안에만 회원자격이 유지됩니다.
2. 참고자료
2.6. 타니사로 스님의 책은 아래 링크에서 무료로 다운 받으실 수 있는데, 보통은 Essays라는 카테고리로 분류된 책을 먼저 읽으시라고 권합니다. "Noble Strategy"와 "Head & Heart Together"를 우선 읽으시기 바랍니다.
2.7. 초기경전의 영문번역은 아래 두 사이트를 권하고 싶습니다. 경전번호를 붙임에 있어 두 사이트 간 차이가 나는 경우도 간혹 있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2.8. 이건 운영자가 초기불교를 공부하며 적는 글들의 목록인데, 신뢰는 마시고 그냥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누군가가 말한) 문장을 단어 하나 하나 경장(經藏)과 율장(律藏)에서 찾아 대조해 보라. 경장과 율장에서 확인되지 않는 문장이라면, '이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니다. 저 스님, 저 종파, 저 큰스님들, 저 큰스님이 잘못 알고 계신 것이다.'라 결론짓고서 받아들이지 말고 거부하라." -- DN 16
